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/올바른 맞춤법

든지 던지 구분 쉬운 방법

by 꼼꼼리아 2020. 9. 7.

든지 던지 구분 쉬운 방법 알려드립니다.

 

태풍이 한차례 지나가고 오랜만에 맑은 하늘을 보는데 참 기분이 좋네요. 오늘 같은 날 사람들과 모여 이야기도 하고 놀러도 가고 해야하는데 그러지 못한 현실이 참 안타깝기만 합니다. 그렇다보니 카톡이나 문자로 대화를 많이 하게 되는데요, 어제는 문득 카톡을 하다가 맞춤법의 장벽에 딱 막혀 버렸습니다. 바로 든지와 던지 인데요, 어떻게 보면 참 많이 쓰이는 건데도 불구하고 쓸때마다 계속 헷갈리는거 보니 참 제가 제대로 이해를 못하였던듯 합니다.

 

저는 이 방법으로 한번에 이해가 갔는데 여러분들도 이제 한번 보면 절대 헷갈리지 않게 둘의 구분방법을 꼭 기억해 두셨으면 좋겠습니다. 

 

먼저 '~든지' 는 조사와 어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. 조사는 받침이 없는 체언이나 부사어 또는 종결어미에 붙는데 

'~다','ㅡㄴ다','~는다','~라'  따위의 뒤에 붙는 경우 입니다.

그리고 어미로 사용될 때는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뒤에 붙어서 '~든지 ~든지' 와 같은 구성으로 쓰이게 됩니다.

 

 

솔직히 이렇게 누가 조사와 어미를 따져서 구분할까요? 이렇게 알면 더욱 더 헷갈릴 뿐이죠. 이론은 이쯤 설명드리도록 하고 확실하게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드리자면 가장 큰 구분법은 바로 선택의 의미냐 아니냐 입니다. 

 

1. 여러가지 상태나 동작을 나열할 경우

2. 선택지를 나열한 후 그 중에서 고를 때 

3. 어느것이 선택되어도 상관이 없을 때 

 

사용이 가능합니다. 예를 들어볼께요.

 

"갖든지 버리든지 니 마음대로 해!"

"먹고 가든지 가서 먹든지 난 상관없어"

"공부를 하든지 나가서 놀든지 하렴"

 

이렇게 선택이란 의미가 들어갔을 경우에는 위의 예시처럼 '든지'를 사용하시는게 맞는 표현입니다.

 

던지는 대게 과거의 상황을 설명할 때 많이 쓰이는 표현입니다.

 

1. 과거에 일어난 어떤 사건이 있을 경우 거기에 대해 의문을 가진 상태에서 추측성으로 이야기 할 경우

2. 어떤 사실이나 판단과 연관지어서 얘기할 경우 (인과관계)

3. 막연한 의문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어떤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 시키는 경우

 

마찬가지로 예문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.

 

 

"오늘 얼마나 춥던지 귀가 얼어붙는 줄 알았어"

"tv에 어찌나 집중을 하던지 불러도 모르는거 있지"

"속이 얼마나 상하던지 눈물이 흘렀어"

 

요약해서 설명드리면 '~든지'와 '~던지'를 구분할 때 선택의 의미로 사용되는지 원인과 결과의 의미로 사용되는지 판단하면 됩니다. 선택일 경우에는 '든지' 원인과 결과일 경우에는 '던지' 꼭 기억하세요!

 

 

 

댓글